/
𝐿𝑒 𝑚𝑎𝑟𝑑𝑖. 28. 𝑗𝑎𝑛𝑣𝑖𝑒𝑟. 2020
하늘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물방울에 담아 한 방울 한 방울 품고 있다고 했다.
.
그러다 큰 바람을 만나 힘이 들 때면 놓치기 싫었던 방울들을 하나씩 놓는다고 했다.
.
사람들은 하늘에서 물방울이 떨어질 때면 대개 기분이 좋지꙼̈ 않다고 말했다.
.
그러면서 하늘이 울고 있다고 말했다.
.
사람도 하늘의 마음을 알았던 것일까.
.
.
.
사람은 원하는 것을 눈 속에 그리고 마음 속에 품고 지낸다고 했다.
.
그러다 큰 역경을 만나 힘이 들 때면 놓치기 싫었던 희망들을 하나씩 놓는다고 했다.
.
그러면서 눈가에 하나 둘 수 놓는 방울 방울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그 방울과 같다고 했다.
.
그럴 때면 하늘에서 빗방울이 쏟아진다.
.
하늘도 사람의 마음을 알았던 것일까
- ℎ𝑡𝑡𝑝𝑠://𝑦𝑒𝑙𝑙𝑜𝑤𝑘𝑖𝑑.𝑡𝑖𝑠𝑡𝑜𝑟𝑦.𝑐𝑜𝑚
#시 #글쓰기

'2F : 도서관 > 창작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21.04.25
네가 필요해  (0) 2021.04.24
길을 걸었지  (0) 2019.10.22
태풍의 눈  (0) 2019.10.11
진심 2  (0) 2019.09.24

"빈익빈 부익부, 태생부터 게으른 자들에 대하여"

#1. 놀부와 흥부, 형 그리고 동생

놀부는 놀기 좋아하고 욕심도 많았다. 집 밖으로 나가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했다. 다소 거칠 때도 있었지만 외향적인 성격의 놀부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만큼 놀부를 싫어하고 불편해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하지만 놀부는 성격상 자신을 싫어하는 사람들까지 신경 쓰는 사람이 아니었다. 

흥부는 놀부와는 달리 조용하고 섬세한 면이 있었으며 다소 소심한 편이라 밖에 나가서 노는 것보다 집에 있기를 좋아했다. 그래서 어릴 때 주로 어른들과 지내는 시간이 많았고 그 덕분인지 작은 일에도 어른들의 넘치는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자랐다. 
사춘기가 시작될 쯤, 놀부는 흥부를 바라보다 문득 자신의 미래에 대한 고민이 들었다. 철부지 같은 흥부가 과연 스스로 이 세상을 잘 헤쳐나갈 수 있을까? 부모님은 언제까지 건강하실까? 고민이 이 정도까지 이어지자 놀부는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어린 시절 사랑만 받고 큰 흥부가 이 세상을 잘 살아갈 지 의문이 들었으니 자신이 열심히 공부해서 부모님과 흥부를 부양해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놀부는 맞이라는 부담감을 짊어지며 놀고 싶은 마음을 억누르고 스스로 채찍질하며 정신을 바짝 차렸다 
흥부는 놀부의 이런 생각을 알았을까, 사춘기에 접어들며 조금만 것에도 과한 관심을 가지는 어른들의 시선이 고맙기도 했지만 왜 자신에게는 따끔한 소리 한 번 안하고 온실 속 화초처럼 키우는지 원망스럽기도 했다. 자신의 게으름이 마치 어른들의 탓인 것처럼.. 그리고 자신과 점점 격차가 벌어진다고 느껴지는 형의 존재도 은근히 비교의식을 갖기 충분했기에 사춘기의 예민한 감수성은 쥐를 쥐덫으로 유인하듯 흥부를 일탈로 이끌었다. 

성인이 될 무렵, 놀부는 성균관에 가게 되었다. 한창 놀고 싶은 나이에 놀기를 거부하고 공부만 했는데, 이젠 한창 꽃피울 시기에 또 공부를 하며 청춘과 중년기를 맞바꾸었다. 지금의 절제가 나중의 희망이 되길 바라며, 
반면 흥부는 슬슬 집에 있는 것이 불편해지기 시작했다. 어릴 때야 시도 때도 없이 놀아도 어린아이는 놀면서 크는 거라며 어른들이 좋아했지만, 사춘기시절 공부의 시기를 놓치고 어른이 되어버렸더니 친구들 사이에서 경쟁력이 없어 한참 뒤쳐졌기 때문이었다. 공부하는 습관이 들지 않은 흥부는 늦게나마 공부를 시작하기보다 이미 늦었다고 말하며 불편한 시선들을 피해 집 밖에 나가있는 시간이 점점 많아졌다. 그러다 어느 날 옆 고을에서 열리는 큰 장터에 나갔다가 한 여인을 만났는데, 결혼을 하기에는 자신이 너무 초라해 보였지만 뒤떨어지는 외모는 아니었기에 몇 번의 구애 끝에 어린 나이에 결혼에 성공했다. 

처가 댁에서는 처음엔 아무것도 없는 흥부를 반대했지만 곧 놀부가 성균관에 진학했고 그 이유가 가족의 부양이라는 이유를 알게 되자 한 숟가락 얹어볼 심산으로 승낙을 했다고 한다. 

몇 년 후, 나라에 큰 기근이 와서 모두가 힘들어 할 때, 각 고을의 몇 몇 대감들은 그래도 넉넉한 재산이 있었는데, 대감들은 먹거리를 구하러 온 사람들에게 밭일, 수선, 가사 등을 시키고 그 대가로 쌀과 반찬 등을 주며 서로 살아나갈 방법을 강구하고 있었다. 
그 대감들 중에 놀부도 있었는데 사람을 쓰는 데는 대감들 중에서 놀부가 가장 까다롭기로 소문이 났다, 간단한 일도 아무나 쓰지 않았다. 그리고 놀부는 다른 대감들과는 달리 정말 공부에 간절하지만 형편이 어려워 공부를 하지 못하는 청년들에게 오롯이 공부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는데, 그 기준이 까다로워 쉽게 놀부의 지원을 받을 수는 없었다. 모두가 힘들다고 모두를 도와줄 수 없는 실정이니, 간절한 사람들 속에서도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보고 인재로 커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따져야 했다. 
흥부는 결혼을 하고 몇 년이 지날 동안에 그렇다 할 일은 하지 못하고 집에만 있다 보니 아이만 계속 낳게 되었는데, 그 마음 속 한 켠에는 아마 형에 대한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리라. 그 기대를 가지고 놀부에게 찾아가 밥 동냥을 했더니 그 오랜 시간 고생하며 살아온 놀부는 스스로의 삶에 책임감 없이 사는 놈에게는 콩 한 톨도 못 준다며 문전박대를 했다. 
놀부는 정말 화가 났다. 자신이 그렇게 노력하는 걸 보면 흥부가 비록 어렸을 시절 철부지였다 해도 자극을 받아 열심히 살 줄 알았건만 결혼까지 해서 가정을 이끌어야 할 가장이란 놈이 고작 한다는 게 형 앞에 찾아와 밥 동냥을 하다니. 한 때 가족을 부양하려고 청춘을 포기하고 공부에만 몰두한 자신에게 화가 나기도 했다. 흥부에게 도움을 주지 않겠다는 건 아니었지만, 그건 흥부가 노력해도 안될 때 아낌없이 지원해주겠다는 것이었지 아무 노력도 없이 비굴하게 밥이나 동냥하러 오는 동생에겐 정말 해주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가 없었다. 
차라리 자신에게 일을 시켜달라고, 가족들 굶어 죽지 않게만 해달라고 말을 했으면 정말 일만 시켰을까, 놀부는 흥부의 근성 없는 모습이 너무나도 보기 싫었다. 
흥부는 형이 무서워 형수님께 갔으나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놀부를 찾아갔을 때와 다른 점이 두 가지 있다면 형수님이 밥주걱으로 따귀를 쳤다는 것과, 그 주걱에 밥풀이 묻어있어 뺨에 묻은 밥 덩어리를 먹을 수 있다는 것 정도였다. 
흥부는 그 밥 덩어리를 손에 쥐더니 고민도 없이 입 속에 털어 넣어 버렸다. 흥부는 결국 가정보다 자신을 먼저 생각하는 그런 사람, 그 이상도 아니고 그 이하는 맞는 사람이었다. 
 
 
 
#2. 귀한 손님, 제비

흥부가 아침 일찍 마당에 나갔던 날, 마당에는 다리를 다친 제비가 있었다. 흥부는 제비를 잡아 잡아먹으려 했으나, 아내가 제비는 귀한 손님을 상징하는 새가 아니냐며 다리를 고쳐주고 돌려보내자고 했다. 흥부는 배고픈데 그런 게 무슨 상관이냐고 몰아세웠지만 아무 말 없이 빤히 쳐다보는 아내의 눈빛에 곧 아내의 말을 따르기로 했다. 
아내는 제비의 다리를 고쳐주며 놀부에게 말했다. 우리는 가난하게 살고 있지만 아이들의 마음까지 가난하게 키우고 싶진 않다고. 
흥부는 듣기 싫은 듯 방문을 쾅 닫으며 방으로 들어갔다. 

그러고 제비에 대한 기억이 흐릿해져 갈 무렵, 마당에 건강한 제비가 있었는데 다리에 흰 천을 감고 있었다. 흥부 아내가 제비를 확인하려 가까이 다가가자 제비는 푸드득 날아가버렸는데 그 자리에 무슨 박 씨 같은 것이 있었다. 흥부와 아내는 제비가 저번의 은혜를 갚으려고 씨앗을 주고 갔다고 생각했다. 밭이 없는 둘은 박씨를 마당에 심었다. 이 박이 자라기만 하면 그래도 며칠은 배를 채울 수 있을 테니 기쁜 마음으로 씨앗을 심었다. 그러고 보니 어디선가 들은 것 같았다. 제비를 도와준 가난한 사람이 제비가 가져다 준 씨앗을 심었다가 부자가 된 이야기를. 흥부는 지금 상황이 딱 자신의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모든 정황들이 자신의 이야기와 맞아떨어진다며 분명 이 박 속에는 보물이 들어있을 것이며, 박을 계속 키우면 박이 자라며 박 안의 보물도 점점 커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니나 다를까, 박은 하루가 다르게 커지더니 박의 수도 많아지고 성장을 멈추지 않았다. 흥부는 신이 났다. 비록 매일 배가 고픈 삶을 살았지만 곧 고생이 끝나고 부자가 되어 문전박대 했던 형에게 찾아가 보란 듯이 나타나 복수를 할 것이라는 생각도 했다. 
며칠을 박만 바라보던 날 흥부의 아내는 이제 그만 박을 타고 보물로 먹거리를 사서 밥을 먹던지, 보물이 없으면 박이라도 먹고 허기를 때우던지 하자고 했다. 그러자 흥부는 노발대발하며 더 큰 보물을 얻을 수 있는데 무슨 말을 하냐며 가족 앞에서 처음으로 미친 사람처럼 소리를 고래고래 지르며 게거품을 물었다. 
그렇게 박만 바라본 지 한 달이 되던 날. 수확시기를 놓친 박이 하나 둘 썩어 문드러지며 갈라졌는데, 그 안에는 보물은 커녕 상할 대로 상한 썩어버린 박만 있었을 뿐이었다. 

흥부는 자신이 노력하여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지 않고, 일확천금을 노려 손 쉽게 고난을 피하려는 소인배, 그 이상도 아니고 그 이하는 맞는 그런 사람이었다. 


- 2019. 07. 09. 소재 찾음
- 2019. 12. 11. 1차 완성
- 2021. 04. 27. 오/탈자 확인 및 문장 수정

'2F : 도서관 > 창작단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랑 끝에 몰린 사람>  (0) 2021.02.18
벌거벗은 임금님  (1) 2020.02.11
아기돼지 삼형제  (0) 2019.06.08
여우와 신포도  (0) 2019.05.29
토끼와 거북이  (0) 2019.05.29

강의 포탈 : YOUTUBE, 플라톤아카데미

 

1. 행복의 비법? -> 최고의 효율은 "여행"이다
  여행은 '벗어나는 기쁨'이다. 기존의 환경에서 벗어남으로써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여행 다음으로는 걷기, 놀기, 말하기, 먹기가 있다. 여행은 이 모든 것의 종합이다.
  행복해지려면 "여행"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말라

2. 심리학자들의 관심

Before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바뀌는 행복의 관점

After
돈과 행복은 비례하는가 돈을 어떻게 써야 행복해질까

  2-1. 경험을 위한 소비 -> 더 오래가는 행복감
    여행은 이야기 거리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끊임없이 회자되고 새로운 누군가를 만났을 때 특별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3. 자식을 위한 경제 교육의 지혜
  돈을 열심히 벌되, 경험에 투자하라
  경험을 풍요롭게 하는 소비를 하라


니코마코스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

'2F : 도서관 > 독서 하이라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전 '씀'에서 발행했던 책의 도입부  (0) 2019.11.11
191110  (0) 2019.11.11
191109  (0) 2019.11.09
191107  (0) 2019.11.07
191105  (0) 2019.11.05

해보고 싶은 건 해봐야 한다

중요한 건 이루는 것이 아니라 해보고 싶은 것에 대해서 열정적으로 반응해보는 것이다

그것이 이미 성공 이전의 성공이다

- 김창옥 TV -

 

Le lundi. 11. Novembre. 2019

'2F : 도서관 > 독서 하이라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112  (0) 2019.11.12
191110  (0) 2019.11.11
191109  (0) 2019.11.09
191107  (0) 2019.11.07
191105  (0) 2019.11.05


#니코마코스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
#일과날 #헤시오도스
#책읽기 #독서 #문화생활 #고전

'2F : 도서관 > 독서 하이라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112  (0) 2019.11.12
예전 '씀'에서 발행했던 책의 도입부  (0) 2019.11.11
191109  (0) 2019.11.09
191107  (0) 2019.11.07
191105  (0) 2019.11.05

#거북이의독서일기 #59번째

독서기간 : 2019년 11월 7일 ~ 2019년 11월 9일

<나, 너, 그리고 우리>

  우리는 친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나의 생각과 나의 기분을 가까운 사람에게 강요하고 있진 않을까.

  내가 좋아하는 것을 같이 하자고 했을 때, 상대가 싫다고 한다고 해서 "상대방이 나와 거리를 두는거야!" 라고 생각하며 관계를 어색하게 생각하게 된다던지. 부모가 자식에게 당연하게 말하는 것들이 사실은 자식의 생각과 기분을 배려하지 않은 채, 부모는 자식의 모든 것을 잘 알고있다는 착각으로 기분을 상하게 하고도 자식이 화내는 이유를 몰라 갈등이 계속 빚어진다던지.. 그런 것들 말이다.

  '우리'라는 표현은 '나와 친하다'라는 것이지 '나와 같다'는 말이 아니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은 우리라고 칭하는 관계에서 나와 같다고 생각해 나의 기분과 나의 생각을 강요하는 경우가 종종 있고, 그로인해 친했던 관계가 깨어지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어떤 관계에서든 상대를 상대방 그대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우리의 판단으로 상대를 재단하고 판단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내가 보고 경험한 정보로 상대를 생각해야지 나의 뇌피셜로 판단했다가는 돌이킬 수 없는 관계가 되어버릴 것이다.

+ Recent posts